인생은 그냥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전 생애를 걸고라도
탐구하면서 살아야 하는 무엇이다.
그것이 인생이다.
무슨 책을 읽어 볼까? 하고 고민하던 찰나에 인터넷에서 추천해 준 책이다. 모순이라.. 이야기의 흐름을 대충 보고는 궁금해서 당장 책을 펼쳐들었다. 양귀자의 소설 <모순>은 우리가 사는 삶에서 흔하게 접하는 아이러니와 그 아이러니를 통해서 삶의 의미를 생각하게 주는 책이다. 주인공 안진진을 통해 현대인의 내면적 갈등과 삶의 모습을 섬세하게 그려낸다. 1998년 출간 된 이 소설은 현재 역주행을 하여 독자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는 책이다. 이 소설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모순>이 시대를 초월한 감동을 선사하는 이유를 줄거리, 감상 리뷰, 그리고 느낀 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양귀자 <모순> 줄거리
양귀자의 <모순>은 주인공 안진진이 자신의 가족과 삶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25살의 안진진은 이모부의 전화 한 통으로 사무실에서 일하고 있다. 폭력적이고 툭하면 집을 나가 돈이 떨어지면 다시 들어오는 아버지, 그런 남편을 덕에 홀로 생계를 이어나가기 위해 억척스럽게 살아가는 어머니 그리고 조직폭력배 두목이 꿈인 동생과 함께 살고 있다. 안진진에게는 두 명의 남자가 있다. 돈은 없지만 순수한 사랑을 주는 남자 김장우, 계획적이고 감정표현에 솔직하며 돈이 많은 나영규, 이렇게 둘 사이에서 고민을 하고 있다.
어머니와 이모는 일란성 쌍둥이이다. 결혼과 동시에 어머니와 이모의 삶은 전혀 달라졌다. 돈이 없고 책임감이 없는 남자와 결혼한 엄마는 시장에서 속옷 등을 팔며 억척스럽게 살아간다. 치열한 삶속에서도 늘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모습이다. 돈이 많은 남자와 결혼한 이모는 부유하고 여유로운 삶을 살아간다. 그런 이모를 안진진은 동경하며 많은 의지를 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이모는 그런 풍요와 여유로운 삶 뒤에 스스로 무료하고 공허한 삶을 영유하며 우울해 한다. 그리고 이모는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고 만다. 이모의 죽음으로 안진진은 충격을 받게 된다. 장례식을 마치고 돌아와 치매와 중풍으로 쓰러진 아버지를 옆에서 돌보는 어머니를 보고 안진진은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돈이 많은 남자 나영규를 선택하게 된다. 결국, 이 소설은 인간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이면적인 모습들을 현실적으로 풀어낸다.
■<모순> 감상 리뷰: 다시 주목받는 이유
1) 현대인도 공감하는 주제
현재, 많은 독자들이 <모순>을 다시 읽으며 깊은 공감을 느끼고 있다. 나 역시도 읽는 내내 많은 생각이 들었다. 진진이 겪는 가족과의 갈등, 사회 속에서의 방황, 사랑에 대한 고민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주제다. 특히 부모와 자녀 간의 가치관 차이는 세대가 바뀌어도 여전히 존재하며, 이를 현실적으로 그려낸 것이 이 소설이 오랫동안 사랑받는 이유 중 하나다.
2) 양귀자의 뛰어난 문체와 스토리텔링
양귀자는 간결하면서도 강렬한 문체로 독자의 감정을 흔든다. 그녀의 글은 어렵지 않지만, 그 안에 담긴 감정과 메시지는 깊고 강렬하다. 또한,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이 자연스럽고 현실적이어서 독자들은 마치 자신의 이야기를 읽는 듯한 몰입감을 느낀다.
3) '모순'이라는 철학적 메시지
이 소설은 제목처럼 '모순'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인간은 흔히 스스로 모순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살아가면서 수많은 감정적·사고적 충돌을 경험한다. 진진의 성장 과정은 그러한 모순을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한 단계 성숙해지는 과정이다.
■<모순>을 읽고 느낀 점
1) 만족하는 삶이란 무엇일까?
sns속에서 사람들을 만나면 나는 늘 작아진다. 나는 이렇게 힘들고 불행한데 다른 사람들은 늘 행복하고 돈도 쉽게 벌고 풍요로운 삶을 영유하고 있다. sns는 나를 늘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한다. 그러던 하루는 남부러울 것 없이 사는 친구가 나의 sns 잘보고 있다면서 나의 여유로운 삶이 부럽다고 했다. 나는 아닌데... 나는 너가 더 부러운데..늘 값비싼 가방을 들고 여행을 다니며 아이들과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는 그녀를 나는 늘 부러워했었다. 그러나 막상 그 친구의 한숨과 절규를 들으면서 삶은 정말 모순 덩어리 이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주위에서도 소위 잘나가는 사람들을 보면 모두가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은 아니다. 힘든 삶을 지속하고 있는 나에게 그들의 하소연과 푸념은 일종의 사치에 불과하기도 했다. 우리는 삶을 바라보는 시선이 다르니까.. 그리고 만족이라는 것을 우리는 느끼지 못하니까 더욱 이러한 아이러니한 삶을 지속하게 되는 것 같다. 나는 아직 덜 성숙한 인간인지, 안진진처럼 이모의 삶을 동경했다. 그러면서 왜 그렇게 다 가졌는데 감사하는 마음은 갖지 못했을까 안타까웠다. 이모처럼 살고 싶은 안진진 역시도 그런 생각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결국 지긋한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 돈을 선택한다. 그럼 과연 안진진의 삶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까?
2) 삶 속의 모순을 받아들이는 법
살다 보면 우리는 수많은 모순을 경험한다. 원하지 않던 감정을 느끼기도 하고, 부정했던 것들을 인정하게 되기도 한다. 하지만 <모순>은 그런 갈등이 우리를 성장시키는 과정임을 보여준다. 바다가 늘 잔잔하기만 한다면 바다의 존재가치가 지금처럼 위대할까? 결국 중요한 것은 모순을 무조건 나쁘다고 배척하고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태도일 것이다.
■결론: 시대를 초월한 감동을 주는 소설
이 작품은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갈등과 고민을 깊이 있게 다루며, 인간 관계와 삶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만든다. 갈수록 치열해지고 복잡해지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지금의 우리에게 더욱 공감을 많이 주는 소설이기 때문이다. 많은 독자들이 이 소설을 찾는 이유는,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삶의 본질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늘 책을 읽으면서 나는 그런생각을 한다.수년의 시간이 지나 많은 변화가 와도 우리 삶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고 말이다.
우리는 모두 모순적인 존재다. 하지만 그 모순 속에서 우리는 성장하고, 사랑하며, 자신만의 의미를 찾아간다. <모순>을 읽으며 스스로의 삶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간만에 흥미롭게 읽어 본 책이다.